주택관리사 회계원리 기출문제 풀이(27회, 2024년)
Q3. 재고자산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재고 자산은 취득원가와 순실현가능가치 중 높은 금액으로 측정한다.->낮은
*개별법이 적용되지 않는 재고자산의 단위원가는 선입선출법, 가중평균법 및 후입선출법을 사용하여 결정한다
*재고자산의 수량결정방법 중 실지재고조사법만 적용 시 파손이나 도난이 있는 경우 매출원가가 과소평가 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과대평가
*부동산매매를 주된 영업활동으로 하는 부동산매매기업이 보유하고 있는 판매목적의 건물과 토지는 재고자산으로 분류돼야 한다(O)
*물가가 지속적으로 상승하고 재고청산이 발생하지 않는 경우, 선입선출법의 매출원가가 다른 방법에 비해 가장 크게 나타난다.->작게
※보충
실지재고조사법은 매입수량만 기록하고 당기매출수량은 기록하지 않고 당기판매가능수량(기초재고+당기매입분)에서 기말실지재고수량을 차감하여 계산하므로 파손이나 도난이 있을 경우 당기판매가능수량이 실제 재고보다 과대평가돼 당기 판매수량이 과대평가될 수 있다(->판매분, 즉 매출원가(비용)가 과대평가되므로 이익은 과소평가된다). 참고로 매출원가는 포괄손익계산서 상 비용이 되며 기말재고는 재무상태표 상 자산이 된다. 기말재고액이 과대평가되면 매출원가가 적어져 이익이 커지는 효과가 있다.
물가가 상승하는 경우 선입선출법 하에서는 먼저 들어온 상품이 먼저 팔리므로 나중에 비싼 값에 들어온 물건이 많을수록 기말재고액이 커지는 효과가 있다. 즉, 물가상승기에 선입선출법 하에서는 기말재고액이 상승하는 효과가 있으므로 매출원가는 작아지는 효과가 나타남.
*재고자산 계정 공식
: 기초상품재고액+당기상품매입액=매출원가(판매분)+기말상품재고액(미판매분)
Q4. 재고자산의 취득원가를 구하시오
매입가격 50만원, 매입할인 15000원, 매입운임 2500원, 하역료 1만원 수입관세(과세당국으로부터 추후 환급받을 금액 7500원 포함) 1만원 -> 2500원만 취득원가에 포함 재료원가, 기타 제조원가 중 비정상적으로 낭비된 부분 4천원 -> 취득원가에서 제외 후속 생산단계에 투입 전 보관이 필요한 경우 이외의 보관원가 1천원 -> 취득원가에서 제외 |
50만-1.5만+0.25만+1만+0.25만=50만원
Q5. 계속기록법에 의한 이동평균법 적용 시 기말재고액은?
적요 | 수량 | 단위당 원가 | 재고자산 단가 | |
1.1 | 기초재고 | 500 | 75원 | |
6.1 | 매출 | 250 | 75원 | |
8.1 | 매입 | 250 | 90원 | 82.5원 |
12.1 | 매출 | 300 | ||
기말재고 | 200 | 82.5원 |
8.1일 재고자산 단가: {(250*75)+(250*90)}/500=82.5
기말재고액: 82.5원*200=16500원
Q6. 재고자산회전율은?
기초재고자산 18000원, 당기 매입액 55000원, 당기 매출액 8만원, 매출총이익률 30% |
*매출총이익률 30%이란, 매출액에서 이익이 차지하는 비중이 30%라는 뜻이다.
매출총이익률 30%=매출원가율70%
매출원가=8만원*70%=56000원
기말재고자산: 18000+55000-56000원=17000원
평균재고자산: (18000+17000)/2=17500원
재고자산회전율=매출원가/평균재고자산=56000/17500=3.2회
Q7. X1년말 X사가 실지재고조사한 재고자산 원가는 5만원. 하기 추가 사항을 고려한 정확한 기말재고 자산은?
X1.12.27 Y사로부터 FOB선적지 인도조건으로 매입하여 운송 중인 상품 원가는 15000원-> FOB선적지 인도조건이므로 재고에 포함 X1년 중 구매자에게 시용판매 목적으로 인도한 상품 원가는 2만원이며 기말 현재 구매자는 30%의 구매의사를 표시함 ->구매의사가 없는 70%, 즉 2만원*70%=14000원만 재고자산에 포함 X1년 말 실사한 재고자산 중 2만원은 주거래은행의 차입금에 대한 담보로 제공 중(저당권은 실행되지 않음)->영향 없음 X1년 중 수탁자인 Z사에 적송한 상품 원가는 15000원이며 기말 현재 Z사는 60%의 판매완료를 통보함 -> 판매가 되지 않은 40%, 즉 15000원*40%=6000원은 재고자산에 포함 |
*정확한 기말재고자산: 5만원+15000원+14000원+6000원=85000원
Q8. X1년초 당좌자산은 3500원, 재고자산은 1500원, 유동부채는 2000원이었다. 기중 상품 1000원을 현금매입하고 외상매출금 500원을 현금회수한 경우 (가)당좌비율과 (나)유동비율에 미치는 영향은?
(차) 상품 1000 (대) 현금 1000
(차) 현금 500 (대) 매출채권 500
*유동자산=재고자산+당좌자산
*당좌비율=당좌자산/유동부채
*유동비율=유동자산/유동부채
*재고자산: 상품
*당좌자산: 현금, 매출채권
거래 반영 전 당좌비율=3500/2000. 유동비율=5000/2000
분자가 분모보다 큰 형태이므로 당좌자산과 유동자산이 증가하면 당좌비율과 유동비율도 각각 증가하는 구조.
당좌자산은 1500원 감소 및 500원 증가하여 총 1000원 감소. 재고자산은 1000원 증가함. 당좌자산과 재고자산이 같은 크기로 증감하여 상쇄되므로 유동자산은 불변하며 유동비율도 불변
당좌자산은 1000원 감소하므로 당좌비율은 감소
답: 당좌비율 감소, 유동비율 불변
Q9. 감사의견이 올바르게 제시된 것은?
감사범위가 중대하게 제한돼 적절한 회계감사를 수행할 수 없었다->의견거절
위배 내용이 미미하며 중요하지는 않다->적정의견
중요한 위배 내용이 회계 감사 종료 전 모두 수정됐다->적정의견
Q10. X1년말 부채로 반영해야 하는 항목은?
a. X1년 근무결과로 X2년 연차를 사용할 수 있게 됨 b. X1년 말 구매계약이 체결되고 X2년 납품 예정 c. X1년 재무제표 승인을 위해 X2년 3월 개최된 주주총회에서 현금배당 결의 |
답: a
(계약체결은 거래가 아니며 배당은 배당결의 시점에서 의무 발생)
Q11. A사는 모든 매출거래를 매출채권 증가로 처리하고 있음. X1년과 X2년 중 회수불능이 확정돼 제거된 매출채권은 없으며 회수불능으로 회계처리했던 매출채권을 현금으로 회수한 내역도 없다. 다음 중 옳지 않은 것은?
계정과목 | X1년 | X2년 |
기말 매출채권 | 95000 | 10만원 |
기말 손실충당금 | 15500 | 17000 |
매출액 | 95만 | 98만원 |
손상차손 | 15500 | ? |
a. X2년 초 매출채권의 전기이월액은 95000원이다
b. X1년 초 손실충당금의 전기이월액은 0원이다.
c. X2년 손상차손은 1500원이다.
d. X2년 초 손상차손의 전기이월액은 0원이다.
e. X2년 중 현금 회수된 매출채권은 976500원이다.
답: e
(해설)
a. X2 초 매출채권의 전기이월액은 X1말 매출채권 잔액(95000원)이다. O
b,c. X1년도 손상차손(15500원)과 X1말 손실충당금(15500원)의 액수가 동일하므로 맞는 설명이다.
d: 손상차손(비용)은 명목항목(손익계정)이므로 이월되지 않는다.(기초금액이 없다.)
*X1년 손실충당금 계정
손실 확정 0 기말 손실충당금 15500 |
기초 손실충당금 0 손상차손 15500 |
*X2년 손실충당금 계정
손실 확정 0 기말 손실충당금 17000 |
기초 손실충당금 15500 손상차손 1500 |
e: X2년도 매출채권 계정은 아래와 같다
기초 매출채권 9.5만원 매출액 98만원 |
회수된 매출채권 ? 손상확정 0 기말 매출채권 10만원 |
문제 조건에서 손상확정된 매출채권은 없다고 했으므로 손상확정된 매출채권은 0원이다. 또한 X사는 모든 매출거래를 매출채권 증가로 처리하므로 매출액이 곧 매출채권이다. 따라서 회수된 매출채권은 975000원 이다.
Q12. 다음 중 당기 말 자본총계에 영향을 미치는 거래는?
자본에 영향을 끼치는 거래는 수익 or 비용의 발생, 배당, 출자 등임.
a. 당기 관리비 수입 발생 -> 수익 발생
b. 차기 관리비를 당기에 미리 수령-> 차기분이므로 차기에 영향(미리 수령하는 것은 영향 끼치지 않음)
c. 당기 급여 발생 -> 비용 발생
d. 당기 중 주식배당 실시 -> 주식배당은 현금배당과 달리 자본에 끼치는 영향이 없음
e. 당기 미수이자 발생-> 미수수익(차변, 자산)&이자수익(대변, 자본) 증가-> 수익 증가
답: a,c,e (3개)
Q13. X1년과 X2년말 미수임대료와 선수임대료 잔액이 아래와 같을때 X2년 중 현금으로 수취한 임대료가 11800원이라면 X2년 포괄손익계산서에 표시될 임대료는?
X1년말 | X2년말 | |
미수임대료(자산) | 11000 | 10000 |
선수임대료(부채) | 7800 | 8500 |
*현금주의에서 발생주의로의 변경: '자산의 증가, 자본의 증가, 부채의 감소'를 더해준다.
X1년말에서 X2년말 사이에 미수임대료(자산)이 1000원 감소했고 선수임대료(부채)가 700원 증가했으므로 118000-1000-700=116300원
Q14. 재무보고를 위한 개념체계에서 제시한 측정기준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답: d
a. 공정가치는 자산을 취득할 때 발생한 거래원가로 인해 증가할 수 있다.->유출가치에 하당하는 공정가치는 거래원가나 감가상각 등과 무관함
b. 공정가치와 역사적원가는 유입가치에 해당한다->유입가치에는 현행원가와 역사적원가가 있다
c. 사용가치는 기업특유의 가정보다는 시장참여자의 가정을 반영한다->시장참여자의 가정을 반영하는 것은 유출가치인 공정가치다
d. 자산의 현행원가는 측정일 현재 동등한 자산의 원가로서 측정일에 지급할 대가와 그 날에 발생할 거래원가를 포함한다
e. 역사적 원가를 기반으로 한 이익은 현행원가를 기반으로 한 이익보다 미래 이익을 에측하는 데 더 유용하다.->두 개념 설명이 서로 뒤바뀌었음
Q17. 기계정치 취득 관련 자료가 다음과 같을때 취득원가는?
구입가격 1050원
최초의 운송 및 취급 관련원가 100원(포함)
광고 및 판촉활동 60원(X)
정상작동여부 시험 과정에서 발생하는 원가 100원(포함)
시험가동과정에서 생산된 시제품 순매각금액 20원(개정 전에는 원가에서 차감했으나 이후에는 당기손익에만 반영함. 즉, 원가에 미치는 영향없음.
X)
다른 기계장치의 재배치 과정에서 발생한 원가 50원(X)
답: 1050+100+100=1250원
Q.19 X사는 X1년초 4년간 용역을 제공하기로 하고 총 계약금액 10만원의 용역계약을 수주했다. X3년도 용역계약이익은?
(진행률에 의해 계약수익을 인식하며 진행률은 총추정계약원가 대비 누적발생계약원가로 산정함)
구분 | X1년 | X2년 | X3년 | X4년 |
누적발생계약원가 추가소요예정원가 진행률 |
24000 56000 30%(=24000/(24000+56000)) |
52000 28000 65%(=52000/(52000+28000)) |
68000 12000 85%(=68000/(68000+12000)) |
80000 - 100% |
총계약수익은 10만원-9만원=2만원인데 진행률에 의해 수익을 인식하므로 X3년도에는 X2년도에 비해 진행률이 20%p 증가했으므로 X3년 수익은 10만원*20%=2만원 이고 원가는 68000-52000=16000원 이므로 2만원-16000원=4천원.
cf) 혹은 총수익이 10만원이고 총원가가 8만원이었으므로 X3년도 이익은 (10만원-8만원) *(80%-60%)=4000원이다.
Q22. 유형자산의 회계처리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답: d
a. 자산을 해체, 제거하거나 부지를 복구하는 의무를 부담하게 되는 경우 의무 이행에 소요될 것으로 최초에 추정되는 원가를 취득 시 비용으로 처리한다. -> 최초에 추정되는 원가의 현재가치를 취득원가에 산한다.
b. 정기적인 종합검사 과정에서 발생하는 원가가 인식기준을 충족하더라도 유형자산의 일부가 대체되는 것은 해당 유형자산의 장부금액에 포함하지 않는다-> 인식기준을 충족하면 자산이고 아니라면 비용이다.(장부금액에 포함한다.)
c. 적격자산의 취득, 건설 또는 생산과 직접 관련된 차입원가는 발생기간에 비용으로 인식해야 한다 -> 적격자산 차입원가는 비용이 아니라 자산의 원가에 산입 한다.
*적격자산: 자산으로 보는 이자비용(금융비용의 자본화)
d. 재평가모형을 적용하는 유형자산의 손상차손은 해당 자산에서 생긴 재평가잉여금에 해당하는 금액까지는 기타포괄손익으로 인식한다.-> O. 재평가잉여금에서 먼저 차감하므로 맞는 표현이다. 한편, 재평가잉여금을 초과하는 금액은 손상차손(당기손익)처리함. cf) 다만, 원가모형에서는 재평가하지 않고 비용 처리함.
e. 상업적 실질이 결여된 교환거래에서 취득한 자산의 취득원가는 제공한 자산의 공정가치로 측정한다->상업적 실질이 결여됐으므로 장부가치로 측정한다.
Q.24. 다음에 해당하는 자본항목은? 답: 이익준비금(이익잉여금 항목)
상법에 따라 자본금의 1/2에 달할 때까지 현금배당액의 1/10 이상을 의무적으로 적립해야 한다.
Q.26 X사는 X1년 1.1일에 상각후원가로 측정하는 액면금액 1만원의 사채(표시이자율 연5%, 이자는 매년 말 후급, 유효이자율 연10%, 만기 X3년말)를 8757원에 발행했다. X사가 동 사채의 90%를 X3년 1월1일에 9546원을 지급하고 조기상환했을 때 사채상환손익은?
X2년 1.1일 시점의 동 사채의 장부가는 8757*1.1-500=9133원
X3년 1.1일 시점의 동 사채의 장부가는 9133*1.1-500=9546원
이고 동 사채의 90%에 해당하는 금액은 8591원(=9546*0.9)인데 9546원을 지급하고 상환했으므로 8591-9546=955원 손실이다.
Q.27 다음은 X사의 X1년 재무제표이다. X사의 법인세비용차감전 순이익이 1만원일때 간접법으로 산출한 영업활동 현금흐름은?
감가상각비 4000원, 매출채권(순액)의 증가 2000원, 재고자산의 증가 4000원, 매입채무의 감소 2000원, 유상증자 2000원, 사채의 상환 4000원 |
'현금주의->발생주의' 변환시 자산, 수익의 증가는 더해주고 부채, 비용의 증가는 빼준다.
(앞에서부터 순서대로)
X-4000+2000+4000+2000=1만원 ->영업활동 현금흐름=6000원
cf) 유상증자와 사채의 상환은 재무활동이므로 영업활동현금흐름과 무관
Q.28 금융자산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답: 당기법인세 자산 (-> 계약이 아니므로)
*금융자산: 매출채권, 투자사채, 다른 기업의 지분상품, 거래상대방에게서 국채를 수취할 계약상의 권리
Q.29 X1년초 설립된 X사의 유통보통주식수는 1만주(주당 액면금액 1000원)이고, 우선주는 3000주(배당률10%, 누적적, 비참가적, 주당 액면금액 1000원)이며, X1년에 유통보통주식수의 변동은 없다. X1년 당기순이익이 500만원일 때 X사의 기본주당순이익은?
*당기순익-우선주 배당금=보통주 몫의 당기순익=500만원-(3000주*1000원*10%)=470만원
주당순이익=470만원/1만주=470원
Q.31 X사는 X1년 5.1일 주식A 100주를 취득일의 공정가치인 주당 100원에 취득하고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 금융자산으로 분류했다. X1년말과 X2년말의 주식A의 공정가치는 다음과 같다.
X1년말 | X2년말 | |
주식A 공정가치 | 120원 | 140원 |
X사는 X2년 5월1일 주식A 50주를 처분일의 공정가치인 주당 110원에 처분하고 나머지 50주는 계속 보유하고 있다. X2년 당기순이익에 미치는 영향은?
처분손익: (110-120)*50주= -500원
평가손익: (140-120)*50주=1000원
-> 총 500원 증가
Q.32 X사의 X1년말 재무상태표 상 현금및현금성자산은 500원이다. 다음 자료를 이용할 경우 보통예금은?
통화 50, 송금수표 100, 선일자수표 150, 보통예금 ?, 당좌개설보증금 150, 우편환증서 100, 양도성예금증서(취득일 X1년 10월1일, 만기일 X2년 1월 10일) |
현금및현금성자산=50+100+?+100=500
답: 250원
*취득일 기준으로 만기까지 3개월 이상인 CD, 선일자수표, 당좌개설보증금 등은 현금및현금성자산이 아니다.
Q.33 X사의 내년 예상손익자료는 다음과 같다. 연간 생산판매량이 20% 증가한다면 영업이익은 얼마나 증가하는가?
단위당 판매가 2000원, 변동원가율 70%, 손익분기점 판매량 300개, 연간 생산판매량 400개 |
'매출액증가액=공헌이익증가액' 이고 연간 생산판매량이 20% 증가하면 매출도 20% 증가하므로 400개*20%=80개 증가
매출액은 80*2000=16만원 증가. 공헌이익률은 1-70%=30% 이므로 매출액증가액*공헌이익률=공헌이익증가액 이므로 공헌이익증가액은 16만원*30%=48000원. 공헌이익 증가액만큼 영업이익도 증가하므로 답은 48000원 증가. 도식화해보면
매출액 80만원 -변동비 56만원 (70%) =공헌이익 24만원 |
모두 +20% 증가 |
매출액 96만 -변동비 67.2만 =공헌이익 28.8만 |
-고정비 | 동일 | -고정비 |
=영업이익 | 공헌이익만큼 증가 |
=영업이익 |
매출액 증가율=공헌이익 증가율 ≠영업이익 증가율
공헌이익 증가액=영업이익 증가액
Q34. (X)사의 X1년 원가자료는 다음과 같다. 직접 노무원가가 기본(Prime)원가의 40%일 때 기말재공품 금액은?
직접재료원가 9만원, 제조간접원가 7만원, 당기제품제조원가 205000원, 기초재공품 5천원 |
기초재공품 5천원 직접재료원가 9만원 직접노무원가 X 제조간접원가 7만원 |
당기제품제조원가(완성품) 205000 기말재공품 ? |
직접노무원가를 X로 놓으면
X= (X+9만원)*0.4 ->X=6만원
대변과 차변의 합계는 같아야 하므로 기말재공품은 2만원
Q36. X사의 X1년 제조간접원가 표준자료는 다음과 같다.
구분 | 수량표준 | 표준배부율 |
변동제조간접원가 고정제조간접원가 |
2시간 2시간 |
5원 4원 |
X1년 제조간접원가의 기준조업도는 2500직접노무시간, 실제 발생한 직접노무시간은 2750시간이다. X1년 제조간접원가의 조업도 차이는 2000원(불리)이었다. 제조간접원가 능률차이는?
*변동제조간접원가 차이 모형
실제산출량에 허용된 변동예산 | 능률 차이 |
실제투입량에 대한 변동예산 | 실제발생액 |
표준시간*표준배부율 | (2750-a)시간*5원 | 실제시간*표준배부율 | 실제배부율*실제작업시간 |
a시간*5원 | 2750시간*5원 |
*고정제조간접원가 차이 모형
표준배부액 | 조업도차이 | 예산액 | 실제발생액 |
표준배부율*실제생산량에 허용된 표준시간 | 2000원 | 표준배부율*기준(정상)조업도 | 고정제조간접원가 실제발생액 |
a시간*4원 | 불리(<) | 2500시간*4원 |
*고정제조간접원가 차이 모형에서 예산액 대비 표준배부액이 2000원 불리 하므로 a=(2500시간*4원)-2000원, a=2000시간.
따라서 변동제조간접원가 모형에서 실제투입량에 대한 변동예산(2750시간*5원)은 실제산출량에 허용된 변동예산(2000시간*5원)보다 (750시간*5원=3750원) 불리함 (왼쪽이 크면 유리, 오른쪽이 크면 불리)
Q.37 X사는 1개의 보조부문(S)과 2개의 제조부문(P1, P2)을 통해 제품을 생산하고 있다. 부문공통원가인 화재보험료와 감가상각비는 각 부문의 점유면적을 기준으로 배분한다. X1년 6월의 관련자료가 다음과 같을 때 보조부문원가를 배분한 후 제조부문 P1의 부문원가(총액)는?
보조부문 | 제조부문 | |||
S | P1 | P2 | 계 | |
부문공통원가 (화재보험료, 감가상각비) |
6000원 (3200, 2800) |
9000원 (4800, 4200) |
15000원 | 화재보험료: 16000원 감가상각비: 14000원 |
부문개별원가 | 1만원 | 15000원 | 18000원 | |
점유면적(㎡) | 20 | 30 | 50 | 100 |
용역수수관계(%) | 20 | 50 | 30 | 100 |
먼저 부문공통원가는 점유면적을 기준으로 배분하므로 각 부문 개별원가를 점유면적에 따라 비율대로 배분함. 예를 들어 화재보험료는 합계 16000원이므로 보조부문에 배분되는 화재보험료는16000원*20%=3200원임.
다음으로 S부문의 부문개별원가(1만원)와 부문공통원가(6000원)의 합인 16000원을 P1과 P2에 각각 배분해주면 됨. 이때 P1과 P2에 배분되는 비율은 용역수수관계에 따르며 각각 50/(50+30), 50/(50+30) 이다. 예를 들어 P1에 배분되는 보조부문원가는 16000원*50/80=1만원.
마지막으로 제조부문 P1의 부문원가(총액)은 P1부문의 부문공통원가(9000원), P1부문에 배부되는 보조부문원가(1만원)+P1의 부문개별원가(15000원)=34000원 이다.
Q.38 X사는 X1년초에 설립됐다. X1년과 X2년의 생산 및 판매활동은 동일하며 생산량은 500개, 판매량은 300개이고 선입선출법을 적용한다. X2년 전부원가계산의 영업이익이 변동원가계산의 영업이익보다 12만원 더 많았다. X2년말 기말제품재고에 포함된 고정제조간접원가는?
해설☞ 각 연도의 재고 계정은 아래와 같다.
X1년
기초재고 0 | 판매량 300 |
생산량 500 | 기말재고 200 |
X2년
기초재고 200 | 판매량 300 |
생산량 500 | 기말재고 400 |
당해 영업이익의 차이는 '(생산량-판매량)*고정제조간접원가'이다. 따라서 X2년말 영업이익 차이인 12만원=(500-300)*고정제조간접원가'. 따라서 고정제조간접원가는 600원이다. 따라서 X2년말 기말제품재고에 포함된 고정제조간접원가는 기말제품재고수량(400개)*600원=24만원 이다.
※보충
전부원가계산방식에서는 모든 제조원가를 제품에 부과한 후 제품판매시점에 가서야 비용으로 처리한다. 이와 달리 변동원가계산에서는 변동제조원가만을 제품에 부과하며 고정제조간접원가는 전액 비용으로 처리한다.
즉, 전부원가계산방식에서는 변동원가계산방식에 비해 '고정제조간접원가 중 일부(=생산량-판매량)가 나중으로 이연되는 효과'가 발생하며 그만큼 당기 영업이익이 '커지는' 효과를 낳는다. 두 방식이 영업이익을 도출하는 과정을 비교하면 아래 표와 같다.
전부원가방식 | 변동원가방식 |
매출액 -매출원가(=기초재고+당기제품제조원가-기말제품재고) =매출총이익 -판관비 =영업이익 |
매출액 -변동매출원가 -변동판관비 =공헌이익 -고정원가(=고정제조간접원가+고정판관비) =영업이익 |
즉, 전부원가계산방식과 변동원가계산방식의 영업이익은 당해 '(생산량-판매량)*고정제조간접원가'만큼의 차이가 발생한다.
*일반적으로는 '생산량>판매량'이므로 전부원가계산방식의 영업이익이 변동원가계산방식에 비해 더 크지만, 만약 당해 생산량과 판매량이 같다면 차이는 없으며, 만약 판매량이 생산량을 초과한다면 전부원가방식의 영업이익이 더 작다.
Q.39 X사는 가중평균법으로 종합원가계산을 적용하고 있으며 모든 원가는 공정 전반에 걸쳐 균등하게 발생 중. X1년 재공품 계정표는 아래와 같음. X1년 완성품환산량 단위당 원가는 187원이다. 품질검사는 완성도 40% 시점에서 이뤄지며 검사를 통과한 합격품의 5%를 정상공손으로 간주한다. 정상공손원가를 정상품에 배분한 후의 기말재공품 금액은? 답: 11220원
기초재공품 수량 100개(완성도 60%) 당기착수수량 1100개 |
당기완성품 수량 900개(완성도 100%) 공손품 100개(완성도 40%) 기말재공품 수량 200개(완성도30%) |
공손품 수량=100개 =(기초재공품수량+당기착수수량)-(당기완성품수량-기말재공품수량)
해설☞
기초재공품 100개(전기착수당기완성)와, 당기착수수량 중 800개(당기착수당기완성)는 당기완성품(완성도 100%)이 되는데 기초재공품 100개는 완성도가 60%로 전기에 이미 검사를 받았으므로 이번 기에는 검사를 받지 않는다. 또한 기말재공품 수량은 완성도가 30%이므로 역시 검사를 받지 않는다. 따라서 당기착수당기완성수량인 800개는 검사를 받았는데 이 중 5%는 정상 공손품이므로 800개*5%=40개는 정상공손품이다.
한편, 정상공손품 원가는 제조원가에 산입하며 당기완성품과 기말재공품원가에 각각 배분한다. 그런데 위 사례에서 완성도 30%의 기말재공품은 검사를 받지 않으므로(검사는 40%시점에 이뤄지므로) 정상공손품 원가는 당기완성품 원가에만 배분된다. (문제 조건에서 모든 원가가 공정전반에 걸쳐 균등발생하므로 정상공손원가=40개*187원=7480원)
따라서 사례 문제에서 기말재공품 원가(금액)는 그냥 '수량*완성도*단위당 원가=200*30%*187원=11220원'이다.
Q.40 X1년초 설립된 X사는 생산된 제품을 해당 연도에 모두 판매한다. X1년에 제품A 900개를 생산해 단위당 3000원의 가격으로 판매했다. X1년 제품A의 원가구조는 다음과 같다.
단위당 변동제조원가 800원, 단위당 변동판관비 600원, 고정제조원가(총액) 80만원, 고정판관비(총액) 60만원 |
X2년초 X사는 제품A의 제조공정을 개선하려고 한다. 제조공정 개선시 고정제조원가는 연간 317800원 증가하고 직접노무원가는 단위당 100원 절감된다. 단위당 변동판관비와 판매가격, 고정판관비는 X1년과 동일하다. X2년 제품A의 영업이익을 X1년과 동일하게 유지하기 위한 제품 A의 생산판매수량은?(단, 재공품은 없다)
해설
단위당 공헌이익*생산량-(고정비+고정원가)=영업이익
[3000-(800+600)]-(80만원+60만원)=4만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