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 11. 19. 22:10ㆍ카테고리 없음
단순한 잡지를 읽거나 인터넷 서핑 정도 등의 가벼운 지적 활동은 전자기기, 즉 전자책 형태로도 충분하다. 하지만 깊은 사고나 암기력 등을 요구하는 지식을 습득하는 데에는 종이책 만한 것이 지금도 없고 앞으로도 없을 것이다. (예를 들어 수학문제를 풀거나 고시공부를 할 때 전자책으로 하는 인간은 없고 앞으로도 없을 것이다.)
즉, 높은 수준의 지적활동이 요구되는 경우에 전자책은 종이책을 절대 따라올 수 없다. 일단 전기책은 책장을 빠르게 앞뒤로 훑거나 책에 바로 밑줄을 긋고 필기를 하는 등의 행위가 여전히 부자연스럽고 매우 느리다. (즉, 실제로 책에다 줄을 긋거나 필기를 하거나 책을 앞뒤로 뒤적여 빠른 속도로 읽는 등의 행위의 경우 여전히 전자책의 속도는 형편없고 앞으로도 마찬가지일 것이다.) 전자책의 속도가 아무리 빨라져도, 전자책은 한 스크린에 아주 길어야 2쪽 분량의 정보를 표시하는데 불과한 데 비해 종이책은 순식간에 여러 페이지를 아무런 피곤함도 없이 옮겨다닐 수 있고 바로 아무 페이지의 아무 구석진 곳이나 글자와 글자 사이에도 좁쌀 같은 메모도 그야말로 즉시 가능하지만 전자책은 절대로 그게 불가능함)
따라서 당연히 종이책으로 공부하는 것이 비용은 좀더 들더라도 전자책보다 월등히 좋다는 것은 굳이 말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교과서 역시 당연히 종이책으로 만들어야 한다.
젊었을 때 공부를 열심히 하지 않으면 나이들어서 결국 몸으로 땜빵하는 일을 하는 수 밖에 없게 되는데 몸으로 땜빵하는 일의 경우 일단 힘든 건 둘째치더라도 노동 자체가 너무도 단조로워서 지겨울 뿐 아니라 작업환경도 위험한 경우가 많고 노동 강도에 비해 보수는 적은 경우가 많고 스트레스도 많이 받을 뿐 아니라 보수까지도 낮은 경우가 대부분이어서 한마디로 비추다. 게다가 몸을 골고루 쓰는 게 아니라 특정 부분만 혹사시키기 때문에 관절이나 뼈 같은 부위에 질병이 생기거나 몸에 문제가 날 확률이 높아지고 한마디로 몸이 빨리 닳기 때문에 계속 몸빵만 할 경우 종국에는 골병까지 드는 경우가 많다. 그러니 젊을 때 무엇이건 닥치는 대로 열심히 공부하고 경험해봐야 하는 것이다.
#shorts 요즘 투니버스가 예전 같지 않은 이유 #이슈 #투니버스
한국의 마지막 게임 잡지..."힘들지만, 독자를 위해" / YTN - YouTube
교육부 발라버린 AI 전문 학부모 [짧뉴] 교육위 국정감사 #짧은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