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 1. 28. 22:16ㆍ주택관리사/기출
※다음자료를 이용해 계산한 총매출액은?(23회 기출)
| 기초재고 5만 / 매출할인 6천 / 매출환입 7천 / 매출운임 4천 / 매입에누리 5천 / 매입할인 2천 / 매출총이익 8만 / 기말재고 3만 / 총매입액 40만 |
순매입액=40만-5천(매입에누리)-2천(매입할인)=39.3만
매출원가=5만(기초재고)+39.3만(순매입액)-3만(기말재고)=41.3만
순매출액=41.3만(매출원가)+8만(매출총이익)=49.3만
총매출액=49.3만(순매출액)+6천(매출할인)+7천(매출환입)=50.6만
*매출운임은 판관비로, 매출액에서 조정하지 않음
*순매출액=총매출액-매출할인-매출환입
*순매출액-매출원가=매출총이익
*매출총이익-판관비=영업이익
※다음은 (주)대한의 20X2년도 재무상태표와 포괄손익계산서의 일부 자료이다. (주)대한이 당기에 상품 매입대금으로 지급한 현금액은?
| 기초상품재고액 3만 | 기초상품재고액 4.5만 |
| 매입채무 기초잔액 1.8만 | 매입채무 기말잔액 1.5만 |
| 매출액 25만 | 매출총이익률 40% |
매출원가=25만*(1-40%)=15만원
매출원가(15만원)=3만(기초상품재고)+당기매입액-4.5만(기말재고) → 당기매입액: 16.5만
매입대금으로 지급한 현금액=1.8만(매입채무 기초잔액)+16.5만(외상매입액)-1.5만(매입채무 기말잔액)=16.8만
*기초재고+당기매입-매출원가=기말재고
*기초재고와 기말재고를 net한후 계산하는 방법도 있음
재고자산
| 기초재고 - | 매출원가 15 |
| 당기매입 16.5 | 기말재고 1.5 |
매입채무
| 현금지급 16.8 | 매입채무기초잔액 0.3 |
| 매입채무기말잔액 | 외상매입 16.5 |
※(주)서울의 매출채권과 관련된 다음 자료를 이용하여 20X2년의 손상차손(대손상각비)을 구하면 얼마인가?
| 20X2년 초의 매출채권 잔액은 100만원이고, 손실충당금 잔액은 4만원이다. 20X2년 4월에 회수불가능 매출채권 3만원을 손상처리했다. 20X1년에 대손처리했던 매출채권 1.5만원을 20X2년 7월에 현금으로 회수했다. 20X2년말의 매출채권 잔액은 90만원이며, 이 중에서 5%는 미래에 회수가 불가능한 것으로 추정 |
20X2년말 손실예상액: 90만원*5%=4.5만원
20X2년말 손실충당금 잔액: 4만원(기초잔액)-3만원(손상확정)+1.5만원(회수액)=2.5만원
20X2년도 손상차손(대손상각비)=4.5만-2.5만=2만원(손실충당금 추가 설정)
※(주)대한은 거래처에 상품을 외상으로 판매하고 액면금액 500만원(만기가 120일이고 이자율 6%)인 받을어음(이자부어음)을 수령했다. (주)대한이 발행일로부터 30일 지난후 주거래 은행에 연이자율 12%의 조건으로 할인받은 경우 은행으로부터 수취할 금액은?(1년은 360일로 처리)
만기금액=500만+[500만*6%*(120일/360일)]=510만원
은행할인액=510만원*12%*(90일/360일)=15.3만원
현금수취액=510만원-15.3만원=494.7만원
*이자부 어음의 경우 은행할인율은 만기금액에 적용한다.(은행: 잔존기간만큼 할인적용)
| (차) 현금 4947000 | (대) 매출채권 5000000 |
| (대) 처분손실 78000 | (대) 이자수익 25000 (한달(30일)간 이자수익) |
※회계거래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직원과 월급 200만원에 고용계약을 체결하다.
☞계약'체결'은 회계거래가 아님(cf. 계약금을 '주는' 것은 회계거래O)
※(주)한국은 당기 중 40만원의 소모품을 구입하고 이를 자산으로 인식했다. 기말 현재 남아있는 소모품은 30만원이라고 할때 회사의 기말 회계처리로 옳은 것은?
(차)소모품비 10만 (대) 소모품 10만
☞기중 소모품을 자산으로 인식한 경우 사용한 금액만큼 비용(소모품비)처리
※(주)한국은 보험료와 급여에 대해 현금유출시 전액비용으로 회게처리중. (주)한국이 결산정리사항을 반영하기 전 당기순이익이 10만원이라고 할때, 결산정리사항을 반영한 후의 당기순이익은?
| 선급보험료(자산) 1만원 미수임대료(자산) 1.5만원 감가상각비(비용) 5천원 미지급급여(부채) 2만원 |
결산수정사항
(차)선급보험료[자산] 1만 (대)보험료[비용] 1만
(차)급여[비용] 2만 (대)미지급급여[부채] 2만
(차)미수임대료[자산] 1.5만 (대)임대료수익[수익] 1.5만
(차)감가상각비[비용] 5천 (대)감가상각누계액[자산의 차감계정] 5천
수정후 당기순이익: 10만+1만-2만+1.5만-5천=10만
※(주)한국은 이자수취일이 다음 회계연도에 도래하는 대여금에 대한 이자수익을 기말수정분개에서 누락했다. 이러한 누락이 재무제표에 미치는 영향으로 적절한 설명은?
*누락된 회계처리
(차) 미수이자(자산) xxx (대) 이자수익(수익) xxx
*이자수취일은 다음 회계연도이므로 기말현금은 과소계상되지 않는다.
*미수이자만큼 자산이 과소계상되고, 자본(순자산)도 과소계상된다.
*이자수익이 누락되어 당기순이익 과소계상됨→자본 과소
☞당기 포괄손익계산서상 당기순이익과 당기 재무상태표상 자본 및 자산은 과소계상된다.(부채는 불변)
'주택관리사 > 기출' 카테고리의 다른 글
| 주택관리사 회계원리 OX 정리(원가관리회계(1) (0) | 2023.02.11 |
|---|---|
| 주택관리사 회계원리 OX 정리(6) 부채회계 (0) | 2023.02.11 |
| 주택관리사 회계원리 기출 (18회) (1) | 2022.12.04 |
| 주택관리사 회계원리 OX 정리(원가관리회계(3)) (0) | 2022.12.02 |
| 주택관리사 회계원리 OX 정리(원가관리회계(2)) (0) | 2022.12.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