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사주 취득 vs 소각 vs 처분 차이점 정리

2024. 12. 8. 23:04일일단상/경제

반응형

'자기주식(자사주)를 취득(매입, 발행취소)했다거나 소각했다, 처분(재발행)했다' 등의 뉴스를 볼 때가 있다. 각각의 경우 차이점은 무엇이고 영향은 뭔지 정리해보겠다.

  효과
자사주 매입(발행취소) 자본 감소, 유통주식 수 감소
자사주 처분(재발행) 자본 증가, 유통주식 수 증가
자사주 소각 자본 불변, 발행주식 수 감소
('자본' 감소, 자사주 증가)

자사주를 매입했다는 것은 회사가 돈을 주고 시장에서 자기회사 주식을 샀다는 말이다. 즉, 이 경우 현금(자산)이 감소하므로 자본 역시 감소한다. 자사주를 처분했다는 뜻은 반대로 회사가 돈을 받고 시장에서 자기회사 주식을 팔았다는 얘기다. 현금이 들어오므로 자본이 증가한다.

자사주를 소각했다는 뜻은 자본에 속하는 '자본'을 자본조정의 차감 계정인 '자기주식'으로 대체했다는 뜻이다.
즉, 자본에 아무런 변동이 없으며 기업 재무구조에 어떠한 변화도 없다. 단지, 자본항목의 형태가 전환된 것뿐이다.
('자본의 차감계정'이라는 뜻은 자본의 증감과 반대로 움직이는 계정이라는 뜻이다. 즉, 자본이 증가하면 자사주는 감소한다.)

 

*자사주는 배당도 받지 못하고 의결권도 없음.
 
다만 주식시장에서는 자사주를 매입해서 소각할 경우 호재로 인식한다. 위에서 자사주를 매입하는 것은 자본이 줄어드는 효과가 있고 자사주를 소각하는 것은 아무런 재무적인 영향이 없다고 설명했다. 그런데 자사주 매입과 소각이 동시에 이뤄지면 자본이 줄어들면서 동시에 발행주식수가 줄어들게 되므로 결국 발행주식수가 감소하면서 유통주식수 역시 감소하게 된다.

 

유통주식수가 감소할 경우 주식의 주요 가치평가 잣대인 주당순이익(EPS)의 경우 발행주식수가 줄어들면서 이전보다 더 상승하는 효과가 있게 되고 이에 따라 향후 주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다만 이는 해당 주식에 대한 가치평가 잣대(기준)이 변하지 않는다는 전제 하에 해당하는 말이며 절대적인 기준은 아니다.) 또한 소각된 주식은 배당 대상이 아니므로 앞으로 주당 배당금이 증가할 가능성도 있다.(다만 이 역시 해당 회사가 계속 현재 수준의 배당률과 이익 수준을 유지할 경우에나 가능한 얘기다)

 

즉, 자사주매입+소각의 효과는 궁극적으로 자본(자본이 아닌 자본이라는 점에 거듭 유의하자. '자본금'은 '자본'을 구성하는 여러 항목 중 하나일 뿐이다.)이 감소한 만큼 발행주식수가 감소하므로 행후 주당순이익 상승이나 주당 배당금 상승 효과를 기대할 수 있어 주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풀이할 수 있다.

 

그런데 자사주 매입의 효과는 자본 감소이고 자사주 소각은 재무적인 영향이 없으므로 '자사주 매입+소각'이 동시에 일어나면 결국 자본이 줄어드는 것 뿐인데 왜 주식시장에서는 호재로 인식할까? 아래 유튜브에서 그 이유에 대해 자세히 설명해놨으니 참고하시길 바란다. 결론부터 얘기하자면 자사주 매입+소각시 실질적으로 주가 상승을 견인할 재무적 효과는 없지만 주당 의결권의 가치가 상승하는 등의 눈에 보이지 않는 가치 상승 요인이 있어 주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주장이다. 

[너무쉬운 금융용어 경제용어 24] 자사주소각, 왜 귀한 주식을 태워버리지?
 
●자본의 분류
-자본거래 항목: 자본금, 자본잉여금, 자본조정
-손익거래 항목: 기타포괄손익누계액, 이익잉여금

*자본: 발행주식수*액면금액

●증자: 자본금 증가
-자본 증가: 실질적 증자(유상증자)
-자본 불변: 형식적 증자(무상증자, 주식배당)

*무상증자(자본전입): 자본금 증가 / 법정적립금 감소
*주식배당: 자본금 증가 / 이익잉여금 감소

*무상증자의 효과: 자본 불변, 자본 증가, 법정적립금 감소, 이익잉여금 불변, 주당이익 감소(발행주식수 증가하므로)
*주식배당의 효과: 자본 불변, 자본 증가, 법정적립금 불변, 이익잉여금 감소, 주당이익 감소(발행주식수 증가하므로)

*이익잉여금의 종류
-[법정적립금]이익준비금(배당불가)
-[임의적립금]감채기금적립금, 손실보전적립금,사업확장적립금(임의적립금은 '미처분이익잉여금'으로 이입후 배당 가능)
-미처분이익잉여금(배당가능)

*배당이 불가능한 법정적립금-주식발행초과금, 자본잉여금, 이익준비금 등

*자본잉여금의 종류
-주식발행초과금(주발초), 감자차익, 자기주식처분이익

*자기주식, 자기주식처분손실은 자본조정에서 차감한다.

cf. 재평가잉여금은 기타포괄손익누계액 항목이다.

●감자: 자본금 감소
-자본 감소: 실질적 감자(유상감자)
-자본 불변: 무상 감자(형식적 감자)

●주식분할, 주식병합의 효과: 자본 불변(자본금도 불변)->주식수와 주당 액면금액만 바뀜

※자사주 취득시 회계처리
(차)자기주식 xxx (대) 현금 xxx

※자사주 처분(재발행,매각)시 회계처리
(차)현금 xxx (대)자기주식 xxx

※자사주 소각시 회계처리
(차)자본금 xxx (대) 자기주식 xxx

자기주식 ‘처분’, 왜 한국만 유별날까 [자본시장 이야기] < 이관휘의 자본시장 이야기 < 경제 < 기사본문 - 시사IN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