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계원리-잘 틀리는 부분 정리

2025. 3. 27. 04:41주택관리사/이론

반응형

[기말재고자산]
매입운임 ☞ 원가에 포함
매출운임 ☞ 원가에 포함
예)

기초재고: 300원, 총매입액 1300원, 매입환출 100원, 매입운임 70원
총매출액: 1600원, 매출환입: 50원, 매출운임: 80원
매출총이익률 10%

기말재고자산은?
 
순매입: 1300-100+70=1270
순매출: 1600-50=1550
매출원가: 1550*0.9=1395
기말재고=300+1270-1395=175

 

[유형자산(재평가모형) VS 투자부동산(공정가치모형)]

☞유형자산은 재평가모형으로 평가하며 투자부동산은 공정가치 모형으로 평가함

 

예)

*유형자산의 경우 ☞ 취득원가보다 증가한 부분은 자본(기타포괄손익), 취득원가보다 감소한 부분은 비용(당기손익). 취득원가보다 감소했다가 취득원가까지 회복한 부분은 수익(당기손익)

 

X1초에 사옥건설을 위해 토지를 300만원에 구입. X1년말과 X2년말 토지의 공정가치는 각각 350만원, 280만원임. X2년 순이익에 미치는 영향은? 답: 20만원 감소 (300-280)

 

*투자부동산의 경우

X1초에 임대수익 목적으로 토지를 300만원에 구입. X1년말과 X2년말 토지의 공정가치는 각각 350만원, 280만원임. X2년 순이익에 미치는 영향은? 답: 70만원 감소 (350-280)

 

[감가상각법]

*이중체감법: 정액법 체감률의 2배. 장부가 기준(잔존가치X)

 

예)

기계장치 36만원에 구입. 내용연수 4년, 잔존가치 6만원일 경우 X2년까지 감가상각누계액은?

이중체감법 사용시, 

X1년 감가상각비: 36만원*(2/4)=18

X2년 감가상각비: (36-18만원)*(2/4)=9

답: 27만원

 

[자산의 교환]

실질 있는 경우(시가)

 -제공자산이 명백한 경우 취득원가☞ 내꺼 시가 ± 현금

 -상대방 자산이 명백한 경우 취득원가 ☞상대방 시가 (현금 수수x)

 -제공자산이 명백한 경우 처분손익☞ 내꺼 시가 - 장부가 (현금 수수x)

 

실질 없는 경우(장부가)

 - 내꺼 장부가 ± 현금

 

[우발부채, 우발자산, 충당부채]

·우발자산: (경제적 효익의 유입가능성이 높은 경우에만) 주석공시

 

·우발부채

- 주석공시 (경제적 효익의 유출 가능성이 높지 않으므로)

- 과거에 우발부채로 처리했더라도 (인식 기준 충족시) 충당부채로 인식할 수 있다

 

·충당부채

- 미래의 영업손실은 충당부채로 인식하지 않는다.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