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일단상/과학_수학_IT_테크_기술(38)
-
진리는 언제나 소수파에 있다.
소수파는 늘 외롭다. 쪽수가 얼마 안 되기 때문이다. 다만 유념할 것은 의인은 혼자가 아니라는 것이다. 세상이 아무리 혼란스러워도 하느님께서는 늘 기드온의 300용사를 남겨두신다. 즉, 자신만이 유일하게 외톨이이고 자신만이 진리를 외치고 있는 것 같아도 실제로는 전세계를 바라보면 기드온의 300용사같은 자들이 진실을 말하며 역시 고군분투하고 있다. 정치인들이 맞는 백신은 가짜라는 어떤 동유럽 간호사의 폭로가 있었다. 백신은 현재 3종류가 돌아다니는데 1번 백신은 정치인들이 맞는 백신으로서 플라시보, 즉 가짜이며 2번째 백신은 mRNA백신이고(백신이 아니라 DNA조작 물질이다.) 세번째는 접종후 2년내에 암을 유발하는 유전인자(oncogene)가 삽입된 것이라고 한다. 즉, 플라시보(위약)은 고위급정치인들..
2022.03.27 -
한국 교육시스템에서 배우는 수학은 수학이 아니라 입시도구일뿐..
[왜냐면] 한국 수학교육, 무엇이 문제인가 / 유윤재 : 왜냐면 : 사설.칼럼 : 뉴스 : 한겨레 (hani.co.kr) [왜냐면] 한국 수학교육, 무엇이 문제인가 / 유윤재 한국의 수학교육의 특징을 말하라고 하면 높은 성취도와 낮은 흥미도로 요약된다. 언뜻 보기에는 이 두 결과는 서로 모순처럼... www.hani.co.kr 내가 만약 입시를 위한 도구가 아니라 순수한 학문으로서 수학을 접했다면 수학이 이토록 고귀하고 아름다운 학문이라는 것에 경탄하며 재밌게 배웠을 것 같다. 하지만 한국 정규교육과정에서 배우는 수학은 학문이 아니라 그냥 입시에서 변별력을 갖추기 위한 수단에 불과하기에 괴물로 변질되어 버린 것 같다. 그런 괴물이 되어버린 학문을 열심히 공부해서 마스터한 또다른 괴물(?)들이 이른바 명문..
2022.03.25 -
플라스틱에도 전기가 흐를 수 있다.
오늘 좀 아찔한 경험을 했다. 배전반에서 전기선을 만지다가 피복이 벗겨진 전기선이 통신반(주로 랜선같은 것을 모아놓은 것)내부에 있는 플라스틱판에 닿았는데 플라스틱판으로 전기가 퍽!하고 몹시 큰 소리로 흐르면서 외부차단기가 완전히 내려간 것이었다. (보통 누전이 소규모로 되면 두꺼비집이 차단되고 말지만(전기가 내려간다고 표현함. 오늘 배운 전기공사 용어가 또 있는데 접지선을 아스선(어스선)이라고 부름) 누전이 강하게 되면 집 외부에 있는 차단기가 내려가는 듯한데 이것은 아파트 옥상쪽에 있는 것 같음) 플라스틱판에 어떻게 전기가 흐를 수 있는지 의아했는데 알고보니 플라스틱판 겉면에 아주 얇은 구리색 도금이 되어 있는게 보였다. 즉, 전기가 흐를 수 있는 구리색 도장을 플라스틱판에 입혀놓고 그 위를 검은색 ..
2022.03.23 -
음악이나 음성의 모습이 비주얼하게 표현되는 원리: 푸리에 변환
음악이나 음성, 즉 들리는 것들은 사실 눈에 보이지는 않지만 수많은 파장과 진폭을 가진 어떤 파동들이 진동하며 움직이기 때문이라고 한다. 그런데 이런 복잡한 파동의 모습을 비주얼하게 마치 눈에 보이듯이 보여주는 기능이 대부분의 음악재생도구들이나 음악재생프로그램에 탑재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즉, 미디어플레이어나 곰오디오같은 음악재생 프로그램을 실행시켜보면 음악이 흘러나오거나 사람 음성이 들릴 때마다 이것을 막대그래프의 움직임으로 표현하여 그래픽으로 보여주는 기능들이 있다. 이 때 사용되는 것이 '푸리에 변환'이라고 한다. 이 역시 삼각함수의 원리를 응용한 것이다. 그래서 눈에 보이지 않고 '들리기만 하는' 소리의 모습을 어느정도 눈에 보이는 형태로 변환하여 '보여주는' 신박한 기능을 담당하는데 이때..
2022.03.21 -
전자레인지의 원리: 물분자를 회전시킨다.
음식 데우는 전자레인지…가열원리는 뭘까? — Synthesis-Based BioFusion Technology Lab (khu.ac.kr) 음식 데우는 전자레인지…가열원리는 뭘까? — Synthesis-Based BioFusion Technology Lab 전자레인지의 원리와 발명에 관한 내용입니다~ (원문) © News1 김일환 디자이너 명절 후에는 항상 음식이 많이 남는다. 남은 음식을 가장 간편하게(more...)biochemistry.khu.ac.kr위는 경희대에서 운영하는 홈페이지인듯 한데 전자레인지의 원리에 대해 설명하고 있음. 요약하자면 전자레인지에서 만들어지는 전자기파의 주파수가 물 분자의 고유 진동수에 가까워서 물분자가 매우 강하게 회전하여 여기서 나오는 열 에너지를 ..
2022.03.14 -
물의 신비
물은 고체가 되면 가벼워지는 몇 안 되는 드문 물질 중의 하나이다. 게다가 물은 끊임없이 진동하고 있다. 전자레인지는 물의 이러한 성질을 이용한 기계인데 물의 진동수와 유사하게 공명하기 때문에 수분을 머금은 음식은 아주 단 시간에 뜨겁게 만들 수 있다. 이는 물의 공명과 유사한 파장으로 진동하는 마이크로파를 방출하기 때문이다. 물의 원소인 수소는 우주에서 가장 흔한 기체이기도 하다. 또한 물은 생명의 근원이다. 마른 땅에 떨어진 씨앗은 스스로 싹틔울 수 없으나 물만 몇 방울 떨어뜨려도 마치 화학반등이 일어나듯 싹을 틔우고 종국에는 식물이 된다.
2022.02.21 -
삼각함수의 정의
삼각함수는 대단히 유용하게 쓰이는 개념 중 하나인데 아래 직각삼각형 그림에서 - 싸인(sin): '높이 대비 빗변'의 길이의 비율(y:r 혹은 y/r) - 코싸인(cos): '밑변 대비 빗변'의 길이의 비율(x:r 혹은 x/r) - 탄젠트(tan): '높이 대비 밑변'의 길이의 비율(y:x 혹은 y/x) 을 뜻한다. 즉, 아래 그림과 같다.(r는 빗변, x는 밑변, y는 높이이다. r이 빗변으로 표현된 이유는 원의 반지름(radius) 역시 r로 표현하는데 삼각함수 그래프에서 응용되는 개념이므로 일반적으로 '반지름'을 뜻하는 r을 밑변으로 표시하는 것 같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 블로그 링크 참조) Sin, Cos, Tan(싸인, 코싸인, 탄젠트)라는 이름이 붙은 것은 해당 글자 각각의 맨 앞글자(S,C..
2022.02.15 -
구구단은 19단까지 외워두는 게 좋다.
세계에서 가장 암산 능력이 빠른 인간들이 인도학생들이다. 이들은 기본적으로 19단까지 외우고 있다. (인도학생들과 같이 생활해보면 알 수 있다.) 곱셈을 빨리하는 능력은 여러면에서 도움이 된다. 일단, 각종 고시나 어려운 시험들의 경우 계산문제가 종종 포함되는 경우가 많은데 이 경우 암산능력이 빠르고 정확하면 남들보다 우위에 설 수 있다. 특히 금융권의 경우 빠른 암산 능력은 고급 금융자격증을 취득하건 실무에서 일하건 거의 필수적이라 보면 된다. 인도식 구구단 19단 표와 인도 구구단 외우기 (tistory.com) 인도식 구구단 19단 표와 인도 구구단 외우기 9 곱하기 9만 외우면 구구단은 끝이라고 믿고 있는 여러분 안녕하세요. 구구단은 이름 그대로 1 × 1 에서 9 × 9 까지의 81가지 곱셈입니..
2022.01.23